생활지식

스벅은 안 되고 교촌은 된다?! 13조 소비쿠폰, 진짜 어디서 쓸 수 있을까?

jun-stories 2025. 7. 5. 23:01

“소비쿠폰 받았는데… 이거 어디서 써야 하죠?” 요즘 가장 많이 들리는 질문 중 하나 아닐까요? 😅

정부가 13조9000억 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안을 통과시키면서, 전 국민에게 1인당 15만~45만 원 상당의 ‘민생회복 소비쿠폰’을 지급하기로 했습니다. 소비를 진작하고, 지역 소상공인을 돕기 위한 취지인데요— 문제는! 어디서 쓸 수 있는지 헷갈린다는 거죠 😵‍💫

그래서! 지금부터 소비쿠폰 사용 가능 매장과 불가능한 곳을 깔끔하게 정리해드릴게요. 이 글 하나면 헷갈림 끝! 👇

✅ 소비쿠폰 사용 가능한 곳

✔️ 전통시장, 동네마트, 식당, 미용실, 안경점, 약국, 학원 등 

✔️ 프랜차이즈 가맹점: 교촌치킨, 파리바게트, 맘스터치, 롯데리아, 편의점 대부분 

✔️ 다이소: 전국 1500개 매장 중 약 30%가 가맹점 → 일부 매장만 가능 

✔️ 마트 내 임대 매장: 미용실, 약국, 키즈카페, 음식점 등은 사용 가능 

✔️ 배달앱: 자체 단말기로 대면 결제 시 가능 (단, 소상공인 가맹점만)

👉 포인트는 ‘가맹점’과 ‘소상공인’이라는 키워드예요! 본사 직영점은 안 되고, 가맹점주가 운영하는 매장만 OK! 🙆‍♀️

 

 

❌ 소비쿠폰 사용 불가한 곳

스타벅스, 올리브영: 100% 직영점이라 사용 불가 

쿠팡, 배달의민족 앱 결제: 온라인 이커머스는 전면 제한 

❌ 대형마트: 이마트, 롯데마트, 홈플러스 등은 사용 불가 

❌ 창고형 할인점: 코스트코, 이마트 트레이더스, 노브랜드 등도 제외 

글로벌 브랜드 매장: 애플스토어, 샤넬, 이케아 등

가전 양판점: 하이마트, 전자랜드, 삼성·LG전자 매장 등 

❌ 면세점, 공항 매장 

❌ 유흥업소, 카지노, 복권방, 귀금속점, 상품권 판매점 

❌ 세금, 공과금, 보험료, 교통·통신 자동이체 등 공공요금 일체

😱 “이렇게 많은 곳에서 안 된다고요?” 네, 맞습니다. 소비쿠폰은 지역 소상공인 중심으로만 사용 가능하도록 설계됐기 때문이에요.

 

💳 소비쿠폰 지급 방식은?

  • 신용카드, 체크카드, 선불카드 형태로 지급
  • 또는 지역사랑상품권으로도 받을 수 있어요
  • 사용 지역은 주소지 관할 지자체로 제한됨
  • 연매출 30억 원 이하 소상공인 매장에서만 사용 가능

👉 지역사랑상품권으로 받은 경우엔 각 지자체 홈페이지에서 사용 가능 매장을 꼭 확인하세요!

💬 마무리 한마디

이번 소비쿠폰은 단순한 지원금이 아니라, 지역 경제를 살리고 소상공인을 응원하는 소비의 힘이에요 💪 하지만 사용처를 제대로 알지 못하면, “왜 안 되지?” 하며 당황할 수 있으니 꼭 미리 체크해두세요!

소비쿠폰으로 알뜰하게 쓰고, 우리 동네 가게도 살리고, 내 지갑도 지키는 똑똑한 소비! 지금부터 시작해볼까요? 😊💸